진료 환자 많은 경기·인천 센터…충북은 상대적으로 적어
병상은 중환자실, 환자는 중증 외상으로 범위를 좁혀 '수용 가능한 환자 수'와 실제 진료한 환자 수를 비교해 보았다. 중환자실엔 산소호흡기, 심전도 측정기 등이 갖춰져 있어 중증 외상 환자에겐 필수인 장소이다. 반면 일반 환자는 본원 또는 다른 병원의 병상으로 옮겨져도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센터별로 진료한 환자 수는 어느 정도나 될까? 여기엔 '중증' 외상환자 뿐만 아니라 일반 외상환자도 포함돼 있다. 일단 센터로 오면 의사들은 진료를 해야 하고 '중증'인지 여부는 MRI나 CT 등 진단이 끝난 뒤 ISS(Injury Severity Score)라는 기준에 따라 점수가 15점 이상이면 분류되는 사후 개념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눈을 칼에 찔린 환자가 있다면 생명이 위급하다고 판단돼 권역외상센터로 이송되고 치료를 받지만 결과적으로 ISS 15점 이상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1년 기준
서울은 무조건 국립중앙의료원…신축·이전 때문에 개소 '차일피일'
서울의 경우 복지부는 일찌감치 권역외상센터로 국립중앙의료원을 선정했다. 다른 지역과 달리 공모도 없었다. 중증외상센터 설치가 대표적인 공공의료 영역이고 서울 센터에 국가중앙권역센터 역할을 맡기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립의료원은 현재 건물 노후가 심해 서울 원지동으로 신축, 이전하는 사업이 추진중이다. 그런데 원지동 부지에 문화재 발굴 조사가 필요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업이 연기됐고 센터 설치도 덩달아 미뤄지고 있다.
이러다보니 서울에서 발생한 중증외상환자는 권역외상센터 대신 가까운 응급의료센터에 가거나, 심한 경우엔 경기도 외상센터가 있는 아주대병원, 의정부 성모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받아야 한다.
외상 사망 환자 가운데 적절한 시간 내에 응급처치를 받으면 생존할 수 있는 비율인 이른바 '예방 가능한 사망률'을 보면 일반 응급의료센터는 30%, 권역외상센터는 21%로 큰 차이가 난다.
그렇다면 급한대로 현재 서울 중구에 있는 국립중앙의료원에 외상센터를 먼저 열면 안 될까? 이에 대해 복지부는 지금 설치를 하면 새 병원 건물에 옮겨서 다시 설치할 때 비용이 2배가 더 든다고 설명했다. 권역외상센터는 전용 병상 60개는 물론 소생실, 검사실 등 각종 시설과 장비를 구축해야 한다. 복지부는 오는 2023년에야 서울 권역외상센터를 열 예정이며, 치료 공백 문제에 대해선 빠른 시일 내에 조치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006978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010893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015806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017437
'閑談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국종 기고] “윤한덕의 ‘고통’을 헤아리기조차 쉽지 않았다” (0) | 2019.02.09 |
---|---|
110121 아덴만 여명 작전 (0) | 2019.01.25 |
[단독] 7년만에 닥터헬기 품은 이국종 "밤낮 가리지 않고 전국 외상환자 진료 선봉이 되겠다" (0) | 2018.11.23 |
[O2/내 인생을 바꾼 그것]생명 살리는 수술과 기타의 화음, 모두 정교한 손끝서 결판 (0) | 2018.11.23 |
이국종 아주대 교수 경기도청 특강서 격앙 (0) | 2018.11.23 |
댓글